SHOWER 2025
Echo Chamber
세바스티안 에두아르도, 이하령, 루 마스두라드 Sebastian Eduardo, Haryung Lee, Lou Masduraud2025年9月20日~2025年10月19日
Dust
루오판 첸 Ruofan Chen2025年8月22日~2025年9月14日
Rooms of Convergence
기예림, 서제만, 이연석, 조이솝, 김경태, 디피지피78, 매그너스 패터슨 홀너, 유키 그레이, 이주경, 김태윤 Yelim Ki, Jeman Seo, Yonsok Yi, Leesop Cho, Kyungtae Kim, dpgp78, Magnus Peterson Horner, Yuki Gray, Jookyung Lee, Taeyoon Kim2025年7月19日~2025年8月16日
Heroes For Ghosts A Heart is Made of Many Folds
시드 바렛, 루이스 벤츠, 정지윤, 샘 코팅턴, 라시야 엘랑가, 케이티 히크먼, 소피아 데피노 라이비, 아멜리아 로렌첸, 민혜인, 임다울, 양유연 Syd Barrett, Luis Benz, Jiyoon Chung, Sam Cottington, Rashiyah Elanga, KT Hickman, Sofia Defino Leiby, Amalie Lorentzen, Hyein Min, Daul Rheem, Yooyun Yang2025年5月17日~2025年6月14日
데뷰 début
홍애린 Aerin Hong2025年3月21日~2025年4月27日
Everyone Else Is Asleep
김무영, 이연석 Muyeong Kim, Yonsok Yi2025年2月14日~2025年3月9日
시나리오 Scenario
손희민 Heemin Son2024年11月23日~2024年12月29日
 The River
김동준 Dongjun Kim2024年10月5日~2024年11月3日
I must see more of you or I will be quite sad
프레데리케 율 베델스비 Frederikke Jul Vedelsby2024年8月22日~2024年9月22日
SUCCESSION 0.1
민혜인 Hyein Min2024年6月22日~2024年7月21日
S, M, L, XL
션 준 연 Sean Jun Yeon2024年3月16日~2024年4月7日
I control myself, but trusting is better
엔조 이와세, 김현진, 아담 마틴, 칼라 맥킨스, 샘 오 Enzo Iwase, Hyunjin Kim, Adam Martin, Calla Mclnnes, Sam Oh2024年2月16日~2024年3月10日
Goodnight
조이솝, 김현진, 이연석 Leesop Cho, Hyunjin Kim, Yonsok Yi2023年12月22日~2023年12月24日
눈 먼 입 2막 2장 Eyes Far Lips Act II Scene II
이연석 Yonsok Yi2023年11月4日~2023年11月26日
Staircase Wit
김무영, 헤수스 모랄레스, 막스 포프 Muyeong Kim, Jesus Morales, Max Popov2023年9月8日~2023年10月8日
Vanitas
이창현 C.H.Lee2023年8月5日~2023年8月27日
프레이머 Framer
이연석, 최태훈, 조이솝, 황수연, 김대환, 정수정, 강승우, 이현우, 임재균, 박보마, 서제만, 류성실 Yonsok Yi, Taehoon Choi, Leesop Cho, Sueyon Hwang, Dahwan Ghim, Soojung Jung, Seungwoo Kang, Hyunwoo Lee, Jaegyun Lim, Boma Pak, Jeman Seo, Sungsil Ryu2023年6月17日~2023年7月24日
엔조 이와세 Enzo Iwase
 The River
김동준 Dongjun Kim2024年10月5日~2024年11月3日
강
강

깊을수록 멈춰 보이는 강처럼.

모든 존재는 중력을 갖는다. 한 물리학자의 이론에 따르면 이렇게 발생한 크고 작은 중력들로 인해일대의 공간, 그리고 시간이 구부러진다. 어떤 세계관에선 물 한 방울 없이도 해당 중력을 바탕으로 땅 위에 강을 만든다. 이 중력은 와이파이 같은 게 아니다. 성질이 흐르는 물과 외려 유사해 전원 오프되는 순간이 없다.존재의 중력은 그것이 소멸하기 직전까지 사라지지 않고 항구적으로 작동하여 상대를 더욱 아프게 만든다. 사진

을 매체로 하는 이들은 이 중력에 좀 더 아프게 반응한다. 실제로 크라카우어는 이런 애상적 태도에 관해 멜랑콜리라는 용어를 집어 들어 그것을 설명한다. 그리고 그는사진에서 내적인 기질로서 그저 이미지 속 대상을애상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 이외에 해당 매체에서의 멜랑콜리의 더 중요한 함의가 있음을 언급한다. 자기소외,또는 대상과의 동일시가 바로 그것이다. 그는 『영화의 이론』이라는 저서의 시작을 사진에 대한 개론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여기서 마르셀프루스트의 소설(Proust, 1920) 가운데 사진에서의 멜랑콜리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구간이 있다며 내용 일부를 인용한다.

“나는 방에 들어와 있었다. 아니 아직 들어와 있지 않았다. 할머니가 아직 내가 들어온 것을 모르고있었으니까. 나는 모자와 여행 코트를 입고 있는 관찰자였고 […] 다시는 또 볼 일 없는 장소의 사진을찍으려는 사진사였다. 나의 시선에 할머니가 들어왔을 때 내 눈 속에서 일어난 기계적 과정은 그야말로 사진찍기였다. (중략) 나는 이제 갑자기 새로운 세계, "시간" 세계의 일부가 된 우리 응접실에 서서, 벌건 얼굴에무겁고 평범하고 병든 여자의 […] 거의 온전하지 않은 눈으로 책의 글자를 따라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는 사진적 태도에 관한 언급이기도 하다. 결과로서 도착하는 사진과 별개로 사진적 태도가 실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앞서 등장한 자기소외, 또는 동일시와 같이 무언가에 강하게 이입하거나 소외, 소격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구체화 된다. 무엇에도 이입하지 못한다면 쭈그려 앉아 카메라를 들이밀 찰나 자체를가질 수 없다. 그러나 지나치게 안으로 들어서 작가가 미처 프레임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한 사진 역시 설득력을 잃는다. 출력된 모든 사진은 이처럼 서로 상이한 두 긴장감이 혼합된 결과물이자, 카메라맨이 건너가고 건너오는 교각(bridge)이 실존한다는 시각적 증거인 셈이다.

관객은 이 전시를 크게 두 개의 지형으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강하게 중력을 뿜어내는 타워 이미지가 일련으로 부착된 벽, 그리고 타워로부터 조금씩 멀어지면서 전시장의 공간을 채우는 열 개 구조물의 영역으로. 언젠가 작가와 사진을 두껍게 둘러싼 각재들에 관하여 얘기 나눈 적 있다. 나는 그것이 결국 액자인지물었고, 작가는 결국 그렇다고 대답했다. 질문은 그 각재의 집합들이 뿜어내는 조형이 궁극적으로 사진의 조형인지 묻기 위함이었고, 작가는 그렇다고 답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전시장에 등장한 삼차원으로 우뚝 일어선 액자들을 그저 사진 출력물을 상하지 않도록 하는, 또는 관객들이 적절한 앵글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돕는도구 이상의 적극적 벡터로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근거를 앞서 인용한 독일 매체학자의문장으로부터 다시 찾는다. 그에 따르면 사진 매체에 골몰하는 이들 고유의 특징은 진실한 모습을 목격하고자하는, 앎에 대한 탐구와 의지로 귀결된다. 이 전시 역시 마찬가지다. 김동준 세계의 언어에 따르자면 이것은 어떤 소유, 즉 가지고픈 마음과 연결된다. 그리고 사진은 해당 소유를 가장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방법론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나는 다시 물었다. 이때 사진을 통해 소유하게 되는 것의 실체에 관하여.

“묵시록에서 천사는 시간이 더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 단언합니다.”

“정확합니다. 인간이 행복을 달성한다면, 시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겁니다.”

“그렇다면 그때 사람들은 시간을 어디 박아둘까요?”

“아무 데도 박아두지 않을 겁니다. 시간은 사물이 아니라 관념이기 때문이죠.”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악령Bésy』에는 위와 같은 시간에 관한 짧은 담화가 등장한다. 앞서 언급한 사진을 통해 소유하게 되는 것의 실체는 위 대화 말미에 등장한 관념과 연결된다. 시간은 우리 자아의 존재 조건(Andrei Tarkovsky, 1985)인 동시에 생 전반에 대한 증거이기도 하다. 실제로 김동준이 이번 전시에서 포착한 초상들은 다분히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다. 녹아 없어질 얼음 기둥이나, 언제 교체되어 이상하지 않을 것처럼 구부러진교통표지판, 펜스와 같이 시한부적 구조물이 사진의 주체로 등장한다. 이들은 타임코드를 갖지 못한 사진 매체가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 또는 환기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소환된 것들이 아니다. 앞선 타르코프스키의 말처럼시간에 대한 탐구는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로 귀결된다. “이대로 시간이 멈춰버렸으면 좋겠다는” 멘트가 이곳저곳에서 매일 들려오는 세계라면 우린 그곳을 이상(理想)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이는 달리 말해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말이 주변에서 자주 들려온다면 거긴 지옥이란 뜻이다. 그러나 “지나갈 예정”인 것들이 “이대로 멈춰있는” 세계라면. 그곳을 우린 어떻게 부를 수 있을까. 모두가 익히 알고 있듯이 우리 주변엔 이미 시간에 대한 질감이 차고 넘친다. 담담하게 우리가 낙원 아닌 곳에 살고 있다는 걸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지독한 현실(자아) 탐구를 바탕으로 하는 이상주의자의 매체로서 사진은 효능 좋은 안정제라 할 수 있다. 가운데서김동준은 자신의 동네 언저리에서 이 시간에 해당하는 초상들을 주워 담아 프레임화한다. 여기서 프레임화한다는 뜻이 여전히 예쁜 꽃으로부터 수분을 잔뜩 말려 우뚝 선 꽃병 안에 드라이플라워를 박아 넣는 일처럼 들린다면 전시명을 다시 떠올려 보자.

앞서 물 한 방울 없이도 강을 만드는 한 세계에 관해 이야기했다. 그러나 그 가상의 세계가 실은 현실과 완전히 무관한 것도 아니다. 현실에서 강은 깊어질수록 표면의 유속은 점점 느껴지지 않는다. 그러다 완전히 깊어지면 물은 아예 흐르지 않는 것처럼도 보인다. 물은 질감을 잃고 너머로 사라지는 것이다. 사진은 그렇게 생겼다. 그것은 너무도 시간이라 시간이 아예 멈춰버린 것처럼 보인다. 그러니 사진의 세계에서 강을 정의할때 물은 없어도, 시간은 반드시 필요할 테다. 그러므로 전시장에 도착한 열 개의 초상을 지탱하는 삼차원의 액자 역시 해당 시간에 대한 벡터값을 표상하는 맥락 아래서 인식되어야 한다. 김동준은 그 강을 향해 걸어가는중이다. 그러나 제 것과 제 것이 아닌 걸 끊임없이 구분하고 의심하는 작가의 기질 탓인지 그는 아주 바깥에서부터 걸어 들어간다. 카메라를 통해 덜컥 포착되는 이미지, 프레임, 나아가 프레임을 추동하는 액자까지도 그는구태여 두드려 본 뒤, 자신이 옳다고 믿는 사진의 정의를 향해 걷는다.

글 오웅진

As Still as a Deepening River

This exhibi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Kim Dong Jun has a studio in Haebangchon, not far from this Huam-dong gallery. The photos displayed are images collected near his studio. To be more precise, they are portraits he gathered while walking/strolling between his home and studio. By “reading deeply” into certain words of the previous sentence, we can extract hints that could lead us to a fuller understanding of this exhibition: walking/strolling, portrait, and between. Referencing Kracauer’s aesthetics of photography to describe Kim’s work is based on the following: Kracauer viewed going for a walk, or city strolling, as a thoroughly modern and urban invention (Kracauer, 1960). While Benjamin’s flâneur is more ideological, Kracauer’s approach to strolling represents an intuitive perception of losing one’s home — a sentiment that also resonates with Georg Lukács’ notions of alienation (Georg Lukács, 1916). One might ask, how can we “read deeply” into strolling when it seems like nothing more than going out for a walk?

First, you need two elements to go for a walk: space and time. Space can be divided again into a house to leave, and somewhere outside to go. This “somewhere” could be a concrete place like the studio or a convenience store, or an unconscious place like a towering spire beyond the hills. The path of the walk is always in between the house and somewhere. Time follows space in a chain reaction. A walk to a convenience store can be easily timed using Google Maps. However, it’s a different matter when strolling between home and an unconscious place, where both the displacement and time become ambiguous. Thus, such walks could last indefinitely, or even end abruptly. Kim has mentioned the enormous tower atop Namsan as an example of such an unconscious space regarding this exhibition. This tower is visible from everywhere in Haebangchon. The towering structure looms, almost ready to tumble when opening the curtains at home or stepping outside his studio. According to Kim, this tower reigns like the protagonist of Seoul, appearing in every promotional video and tourist posters, surveying the city from its highest point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Every being has gravity. According to a physicist, gravity, whether big or small, warps both time and space around it. In some world, gravity forms rivers without a single drop of water. Gravity is not something like Wi-Fi signals. It is rather like flowing water that never shuts off. The gravity of a being remains until the very last moment of its disappearance, exerting a constant force that affects others more painfully. Those who work in the medium of photography react more sensitively to this gravity. In fact, Kracauer described this sorrowful attitude, explaining it as not just a disposition that casts subjects in a mournful light, but as an essential aspect of the medium itself. He called it “melancholy”, the feeling of alienation or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He begins his book, Theory of Film, with an introduction of photography. He cites an excerpt from Marcel Proust’s novel (Proust, 1920) as a vivid example of melancholy in photography.

“I was in the room, or rather I was not yet in the room since she was not aware of my presence. (…) there was present only the witness, the observer, with a hat and travelling coat, (…) the photographer who has called to take a photograph of places which one will never see again. The process that mechanically occurred in my eyes when I caught sight of my grandmother was indeed a photograph. (…) suddenly in our drawing-room which formed part of a new world, that of time, (…) I saw, sitting on the sofa, beneath the lamp, red-faced, heavy and common, sick, lost in thought, following the lines of a book with eyes that seemed hardly sane, a

dejected old woman whom I did not know.”

This reflects a photographic attitude — a stance that exists regardless of the results of the photograph. And like mentioned previously, the repeated process of deep identification or alienation gradually forms shape of this attitude. Without any sort of emotional engagement, there would be no moment to crouch down and snap a picture. Yet, if the artist becomes too absorbed in the moment and remains inside the frame, the photograph loses its power. Every photographical output is a result of mixture of these two opposing tensions, and a proof of existence of the bridge which the photographer crosses back and forth.

The exhibition can be viewed in two parts: the wall of images of the tower radiating intense gravity, and the ten structures filling the gallery gradually distancing themselves from the tower. Kim once spoke to me about the lumber surrounding the photographs. I asked if they were picture frames, and he answered yes. My intention was to understand whether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s was a sculptural extension of the photographs themselves, and the artist affirmed this. Hence, these tall three-dimensional frames should be interpreted not as tools to protect the printed photographs or aid the viewer in finding the right angle, but as active vectors. According to our previously referred German media scholar, the nature of those who are engrossed in photography boils down to the passion for witnessing the truth and sincere figure the search of knowing. Kim Dong Jun’s work, following this logic, links photography to a desire for possession, for capturing what we wish to own. I asked once again, what it is that photography allows us to possess.

“In the Apocalypse the angel swears that there will be no more time.”

“I know. That's very true; distinct and exact. When all mankind attains happiness then there will be no more time, for there'll be no need of it, a very true thought.”

“Where will they put it?”

“Nowhere. Time's not an object but an idea. It will be extinguished in the mind.”

This is a short conversation in Dostoevsky’s Bésy. The essence of what photography allows us to possess is tied to the idea mentioned at the end of this conversation. Time is both a condition of the existence of our ego (Andrei Tarkovsky, 1985) and evidence of our lives. Indeed, the portraits that Kim Dong Jun has captured in this exhibition are imbued with a profound sense of temporality. They are objects like a melting ice pillar, a bent and old traffic sign, or a fence that are waiting to be replaced, things that seem destined to vanish. These subjects aren’t summoned conventionally to overcome or arouse boundaries of photography lacking a timecode. As Tarkovsky said, the exploration of time leads to self-reflection. If we live in a world where people constantly say, “I wish the time would stop like this”, we might as well call that an ideal world. On the other hand, if it was the phrase, “This, too, shall pass”, that would mean it is a world closer to hell. But what should we call a world where things that are “meant to pass” seem to “remain still”? As we are all aware, oursurroundings are already filled with the textures of time. We must calmly accept that we are living in a place far from paradise. In this reality, photography, as a medium for the idealist deeply tied to the relentless selfexploration, becomes an effective sedative. And here, Kim collects the portraits of this time from his surroundings and frames them. If the word “framing” still sounds like merely putting dried flowers in a vase, let us recall the title of the exhibition once again.

I mentioned earlier about a world where rivers could be formed without water. But this imaginary world isn’t entirely disconnected from reality. In the real world, the deeper a river is, the slower its surface appears to move. And when it gets extremely deep, the water seems still, losing its texture and disappearing into the beyond. Photography is like this. It is so deeply tied to time that it appears as if time has stopped. Hence, in order to define a river in the world of photography, we would need time rather than water. The three-dimensional frames supporting the ten portraits in this exhibition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representing vectors of time. Kim Dong Jun is walking towards that river, but his meticulous nature — constantly questioning what belongs to him and what does not — leads him to approach cautiously from the very edge. After carefully examining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the frame, and even the frame that drives the composition, he continues his path toward what he believes to be the definition of photography.

Text by Woongjin Oh / Translationby Junhee Kim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Liste Art Fair Basel 2025
이연석, 김경태 Yonsok Yi, Kyungtae Kim2025年6月16日~2025年6月22日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리스테 아트페어 바젤 2025

휘슬과 샤워의 공동 기획 부스 In the Living Room은 공유된 공간이 지닌 다층적인 친밀감과 복잡성을 김경태(b. 1983, 서울)와 이연석(b. 1995, 서울)의 작업을 통해 탐색합니다. 휘슬은 김경태의 작업을, 샤워는 이연석의 작업을 각각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2024년 12월 3일, 한국에서 단기간 선포된 계엄령과 그것이 사회와 정치, 공적·사적 영역에 미친 영향을 계기로 기획되었습니다. In the Living Room은 거실을 단지 정적인 사적 공간으로 보지 않고, 사회적 긴장이 조용히 사적 영역으로 스며드는 반사적인 장소로 재구성합니다. 주거 공간 안의 공적인 장소인 거실은, 외부인을 초대해 사적 공간을 드러내 보이는 일종의 연극적 무대로 기능합니다.

거실은 물리적으로도 개념적으로도 외부와 내부가 교차하는 공간입니다. 이러한 충돌은 익숙한 거실의 요소들을 부스 안에 통합한 방식에서도 드러납니다.

김경태의 사진 작업은 두 시리즈로 나뉘며, 물의 물리적·시각적 상태를 탐구합니다. 하나의 시리즈에서는 낙수 장치와 수 밀리초만 지속되는 스피드 라이트를 이용해,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찰나의 순간을 포착합니다. 물의 다채로운 형태와 창문, 문과 같은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 요소들을 통해, 중력과 긴장이라는 기본적인 힘을 드러냅니다.

또 다른 시리즈에서는 작가가 수년간 자연환경에서 관찰해 온 다양한 물웅덩이를 세밀하게 기록합니다. 표면의 질감, 떠다니는 입자, 빛의 전달, 때로는 그 안에 서식하는 미세한 생명체들까지 포착한 이 작업은, 마치 거실 속 TV처럼 제시되며, 개인의 인식이 어떻게 미디어와 소셜 플랫폼을 통해 형성되는지 은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사진은 매일 회전되거나 교체되며, 계엄령 이후의 사회적 분열을 반영하고, 작은 시각적 변화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디어 이미지가 정보의 해석과 수용 방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강조합니다.

반면, 이연석의 작업은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적이거나 장식적인 요소를 모방하며, 회화를 독립적인 조각적 존재로 다룹니다. 그의 회화는 2개에서 10개까지의 모듈로 구성되며, 마치 생활 공간 안의 사물 재배치처럼 구성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표면의 질감과 물질성은 구체적인 내부 공간을 떠올리게 하기보다는, 회화 자체가 하나의 자율적인 물체로 존재함을 강조합니다.

이연석은 목판을 조각하고 반복적으로 칠하고 연마하여 붓질의 흔적을 지우고 감춥니다. 이러한 지우기의 행위는 때로는 회화의 물질적 평면을 소멸의 경계까지 밀어붙이며, 그 표면을 결여와 축적이 공존하는 장소로 만듭니다. 조각, 채색, 연마의 반복적 행위를 통해, 표면은 감춰진 기억의 층으로 변모하고, 이미지의 형상은 흐릿한 반사면 아래로 유예됩니다. 그의 회화는 시대착오적이면서도 거울처럼 반사적인 성질을 띠며, 전통적인 감상의 방식에서 벗어나, 보이는 것보다는 감춰진 것을 통해 사유를 유도합니다. 회화는 더 이상 이미지가 투영되기를 기다리는 수동적 재료가 아니라, 부정의 장소로서 다시 태어납니다.

이번 전시는 정치적 격동 속에서 직접 반응하며 시작된 프로젝트로, 휘슬과 샤워는 앞으로도 사회적 긴장과 분열이 남긴 여파를 탐구해 나갈 예정입니다. 오는 7월에는 두 공간이 함께 “미완성의 방”이라는 개념을 주제로 공동 전시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 전시는 공적 불안과 미해결된 갈등이 정지된 상태로 남아 있는 공간을 상상하며, 그것들이 어떻게 일상적이고 심리적인 차원으로 스며드는지를 다룹니다. “미완성의 방”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조건—집단적 불확실성, 조작된 공포와 같은—이 개인의 일상 속 리듬에 어떻게 파고들거나, 혹은 저항과 성찰의 몸짓으로 전환되는지를 탐색하는 하나의 렌즈가 됩니다.

Whistle and SHOWER’s joint presentation, In the Living Room, explores the layered intimacies and complexities of shared spaces through the works of Kyoungtae Kim (b.1983, Seoul, Korea) presented by Whistle, alongside Yonsok Yi (b.1995, Seoul, Korea) presented by SHOWER.

In the Living Room was conceived in light of the short-lived declaration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on December 3, 2024, and the implications this had for Korean society and politics, both public and private. The presentation reimagines the living room not as a static domestic space, but as a site of reflection where the public tensions quietly filter into the private sphere. The living room, a public area within a residential space, acts as a theatrical distillery within the house, making one’s privacy presentable for observation by others invited to the house.

The living room occupies a space of convergence, both physically and conceptually. This conflict between the external and internal worlds is mirrored in the booth’s integration of familiar living room elements.

Divided into two series, Kyoungtae Kim’s photographic works investigate the distinct physical and visual states of water. Using a device that precisely controls the flow of falling water, along with a speed light that emits a flash lasting only a fraction of a millisecond, he captures ephemeral moments that would otherwise be imperceptible to the naked eye. This series portrays the ever-changing, diverse appearances of water and incorporates elements such as windows and doorways that open outward, revealing the underlying forces of gravity and tension within the presentation.

Another series presents an array of pools of water meticulously documented by Kim over several years in natural environments. These works reveal intricate details—from the textures of their surfaces and suspended particles to the transmission of light—and occasionally, the tiny organisms inhabiting these aquatic microcosms. Presented metaphorically as a television in a living room, the images reflect how media and social platforms shape individual perception. The photograph is rotated and replaced daily, echoing the societal divide that followed the post-martial law period, and illustrating how even subtle visual shifts can alter our apprehension. This process further underscores how images circulated through media can profoundly influence the way information is perceived and interpreted.

In contrast to Kim’s works, Yonsok Yi’s practice emulates the ornamental and structural elements of an interior space. His paintings are conceived as modular units, ranging from two to ten components, which can be configured much like daily rearrangements of objects in a living space. However, the sculptural presence of his paintings and their richly textured surfaces do not evoke an image of an interior. Instead, they emphasize the painting as a self-contained object, engaging with the ongoing discourse around the material and conceptual limits of modern painting.

The artist carves into wooden panels and repeatedly paints and polishes them to eliminate and obscure any visible traces of brushstrokes. This relentless act of erasure sometimes pushes the surface to the brink of disappearance, where the material plane itself begins to collapse, becoming a site of both absence and accumulation. In the process of carving, painting and polishing, the painting’s surface becomes a stratum of concealed memory—its imagery deferred beneath a blurred, reflective texture. Adopting both an anachronistic and almost mirror-like quality, his paintings move away from traditional modes of viewing, prompted by not what is actively visible, but by that which is seemingly withheld. Painting reframes itself not as passive material awaiting the inscription of an image, but as an active site of negation.

Building on this presentation, which is a direct response to the then-unfolding political climate, Whistle and SHOWER continue to investigate the enduring effects of social tension and division. In July, the two spaces will co-host an exhibition framed by the concept of an “unfinished room,” the exhibition imagines a space where public anxieties and unresolved conflicts remain suspended, gradually seeping into the domestic and psychological realms. This metaphor serves as a lens to explore how externally imposed conditions, such as collective uncertainty or manufactured fear, embed themselves in the rhythms of daily life, or alternatively, give rise to gestures of reflection and resistance.